728x90

전체 글 35

물류로봇 (AMR)은 이제 시작이다

요즘 좋게 보고 있는 AMR에 관한리포트가 어제 하나증권에서 나와서 정리를 해본다. *** AGV(무인 운송 차량) vs AMR(자율 이동 로봇) 1. AGV(Automated Guided Vehicle, 무인 운송 차량) QR코드나 점자 등 코드를 통해 이동하는 루트를 설정하는 물류로봇. 이동 경로를 지속해서 입력 받아야 하기 때문에 로봇이 이동하는 길에 별도 표기(QR코드 및 점자)가 필요하며, 표기된 길 외에는 이동이 불가능하다. AMR 대비 무거운 무게의 물류를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고, 시스템 상 운행 경로가 정해져 있는 만큼 높은 정확성을 확보하고 있다. 현재는 주로 물류 및 유통 회사에서 채택하고 있다. 2. AMR(Autonomous Mobile Robot, 자율 이동 로봇)은 자율주행이..

주식공부/로봇 2023.05.15

원텍 - 미국 진출은 시작도 안했다.

*** 기업개요 1999년 설립된 미용의료기기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사업 초기에는 항암 레이저 기기를 개발해 왔으며 에스테틱 시장이 커지면서 이쪽으로 사업의 방향을 전환하였다. 동사는 미용 의료기기 장비업체 중 가장 많은 라인업을 확보하고 있는데 색소침착을 치료하는 레이저기기부터 고주파, 초음파 장비까지 피부과에서 시술하는 모든 장비군을 보유하고 있다. - 미용 의료기기 부문 수출 비중 : 54% 국내 매출 : 올리지오 위주 해외 : 레이저 장비, 올리지오, 초음파 장비등 다양하게 판매되고 있다. 올리지오 소모품 : 2022년 3분기 누적으로 116억원의 매출을 기록, 매출 비중 21% ** 동사의 주력장비는 올리지오 글로벌 미용 의료기기 업체인 Solta Medical社에서 출시한 써마지와 같은 효과..

두려워할 이유가 없다~~~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305039537i 이창용 한은 총재 "미국 긴축사이클 종료에 가까운 듯" [강진규의 외환·금융 워치] 이창용 한은 총재 "미국 긴축사이클 종료에 가까운 듯" [강진규의 외환·금융 워치], 강진규 기자, 경제 www.hankyung.com 리딩방송, 시황방송 볼 필요가 없다. 창드레곤 만큼 시장에 대한 리딩을 잘 하는 사람이 있는가? 창드레곤 가라사대 "미국 긴축사이클 종료에 가까운 듯"...쫄지마라 긴축은 끝났다. 가즈아~~ 라고 외치고 계신다. 미련한 중생들은 그냥 따르면 된다.ㅋㅋ

IT용 올레드 '애플효과'에 큰 장 선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5001644?cds=news_my IT용 올레드 '애플 효과'에 큰 장 선다...삼성D·LGD 수혜 기대에 투자 속도 애플발(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확대' 호재가 침체에 빠진 디스플레이 업계가 빅사이클(호황기)로 접어드는 데 기폭제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국내 디스플레이 양강 삼 n.news.naver.com 애플이 OLED 패널을 확대한다는 소식이다. 큰 방향으로 봤을때는 OLED 를 적용하는 기기들이 점차 확대될것이다. 엔젯은 이러한 변화에 가장 수혜를 볼수있는 기업이다. 애플을 모든 기기에 확대적용되기를 기대해보자~~ 요즘 시장조정과 함께 주가가 조정을 받았지만 다시 갈것이다. 올해 내내 우상향..

케어젠 - 잠재 성장성을 보자

케어젠 - 펩타이드에 특화된 기업 케어젠은 펩타이드 기반으로 안면미용, 탈모, 두피관리, 바디, 비만관리 등의 의료기기 (필러, 메조)와 기능성 화장품 (Cosmeceuticals), 원료를 개발/생산하고 있다. 현재 필러/메조, 기능성화장품을 전 세계 130개국에 판매하고 있다.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수출비중이 93%이다. 특히 성장인자, EPO (Erythropoietin) 등 4종의 펩타이드 원료에 대해 세계적 화학적 기업 BASF에 독점공급계약을 체결, 21년 2분기부터 공급하고 있다. 현재 전문테라피(필러/메조) 제품은 20%대, 그리고 화장품은 연간 6~8%내외 성장하고 있다. 전문테라피 사업중에서는 발모관련 제품 DR. CYJ의 성장률이 높다. 주사제형으로 탈모개선 헤어필러이다. 동제품 매..

엔젯 - 세계최초 독보적 EHD 잉크젯 프린팅 솔루션

엔젯 - 세계최초 독보적 EHD 잉크젯 기술 엔젯을 대표하는 키워드는 EHD 잉크젯 기술이다. 기존의 전통적인 잉크젯 프린팅 기술과는 다르게 동사는 새로운 메커니즘에 의한 채팅 기술을 원천 기술로 개발을 하였고 그 기술들을 디스플레이, 반도체, 2차전지, 바이오와 같은 첨단산업에 적용을 하고 있다. 이러한 원천기술을 산업에 응용함으로써 최근에 급격한 성장을 하고있다. 이러한 성장을 토대로 작년에 코스닥에 상장을 함. 동사의 비젼은 프린티드 일렉트로닉스 공정 전환이라는 것이 기본적인 컨셉이다.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같은 어떤 특정한 공정을 진행 하려면 어떤 구조물을 만들어야 하는데, 그 구조물을 반도체 공정으로 하려면 진공, 증착, 노광, 에칭 등 굉장히 복잡한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한다. 하지만 프린팅 기술..

레이크머티리얼즈 - 높아지는 High-K의 가치

레이크머티리얼즈 - 눈부신 태양광 성장 동사의 전방 산업은 크게 4가지로 구분된다. 반도체 62%, 태양광 21%, LED 11%, 석유화학 6%이다. 2023년 전사 매출액은 23.6% 증가한 1,626억원으로 추정한다. 부문별로는 반도체 소재 987억원 (+20.7% yoy), 태양광 소재 395억원 (+40.8% yoy), LED 소재 127억원 (-8.3% yoy), 석유화학 촉매 113억원 (+51.5% yoy)을 예상하며, LED를 제외한 전 부문에서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이다. High-K의 가치를 포함해 태양광 소재, 석유화학 촉매 매출 성장세를 고려하면 PER 19.3배 적용은 무리가 없다. High-K 프리커서를 공급하는 디엔에프도 DPT/High-K 매출액이 급격히 늘어났던 2015년에..

메디톡스 - Truth never dies

기업 개요 - 글로벌 대표 에스테틱 기업 메디톡스 국내 애널리스트 가운데 유일하게 메디톡스 리포트를 꾸준히 내주는 김영건 애널의 리포트가 오늘 나와서 한번 리뷰를 해본다. 동사는 2000년 설립, 2009년 코스닥에 상장한 글로벌 대표 에스테틱 기업이다. 현재 보툴리눔 톡신 3종 (메디톡신, 코어톡스, 이노톡스)을 비롯해 히알루론산 필러 브랜드 뉴라미스, 아띠에르, 포텐필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의료기기, 전문의약품, 주사제 등 미용의료기기/용품 제품 라인업 전반을 보유하고 있다. 2022년 기준 제품군별 매출 비중은 톡신 49.5%, 필러 37.4%, 마일스톤 및 기타 13.1% 순이다. 지역별 매출 비중은 아시아 36.1%, 아메리카 22.8%, 유럽 3.4% 순이다. 2019년부터 진행된 IT..

미용의료 - 메디톡스 보톡스

메디톡스의 성장과 추락 메디톡스의 투자 아이디어는 크게 세가지이다. 하나는 대웅제약과의 소송에서 승리하여 균주 지적재산권을 인정받았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미국진출에 대한 기대감이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건 실적이 바닥을 찍고 턴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그 외에도 많은 호재와 이벤트들이 있다. 감염법 예방법 개정안이나 뉴럭스 국내 승인 등이 상반기 내에 이루어질 수 있을거 같고 리오프닝으로 미용이나 성형에 대한 수요도 늘어날걸로 보인다. 메디톡스는 최근 몇년간 대웅과의 소송과 식약처와의 분쟁으로 실적에 심각한 타격을 받고 주가는 거의 5분의 1토막이 났다. 하지만 작년 2분기부터 실적이 돌아서기 시작했고 올해는 더욱 크게 찍힐거 같다. 그 간의 역사를 초창기에 앨러간과 LO를 하면서 오르고 미국임상 진..

728x90